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라장터에 올라온 공고들이 사업 유형별로 어떻게 구분는지 살펴본 다음, 각각 입찰 참가자격을 등록 할 때 요구되는 서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입찰 참가자격을 얻었다면, 해당하는 공고에 입찰을 넣어봐야 합니다. 입찰을 할 때 가장 고민되는 것은 “입찰가격”을 결정하는 일 일텐데요. 입찰가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낙찰자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먼저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공고를 보고 낙찰자가 결정되는 프로세스를 이해한 다음, 입찰 가격을 결정하는 요령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사업유형별 나라장터 활용법::입찰공고 조회방법
사업유형에 따라 입찰참가자격을 등록 할 때 준비해야 할 서류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전에 나라장터 사이트에 접속해서 공고들 살펴보겠습니다.
나라장터 사이트에 접속해 보면, 첫 페이지에 입찰공고를 검색할 수 있는 창이 보입니다. 공고명을 입력하는 창 앞에 ‘업무구분’ 메뉴를 열어보면, 여러가지 항목을 볼 수 있는데요. 각 항목들이 사업유형과 관련이 있습니다.
첫번째, ‘물품’ 카테고리에는 공장을 가지고 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제조업체와, 유통을 하는 공급업체에 해당하는 입찰공고문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학교 교복이나 학교 과학실용 가구를 제작하여 구입과 같은 공고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공사’와 ‘용역’ 입니다. ‘물품’업무가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구매하는 것이라면, ‘공사’와 ‘용역’ 업무는 어떤 일을 완성하고 대가를 받는 도급 업무로서, 하나로 묶어서 볼 수 있습니다.
공사업무에서는 바닥.외벽 공사 그리고 난방을 위한 전기 공사, 급식실 공사 등의 공고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용역업무에는 페스티벌 기획, 마을축제 개최, 컨설팅 공고와 같은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나라장터에 올라온 공고를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기관과 수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렇게 조회를 통해 사업에 필요성을 미리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전자입찰은 나라장터 뿐만아니라 수요기관인 공공기관에서 체계를 따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전자입찰 체계가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 링크 입니다.
일반 사이트 회원가입과 다른 것은, 가입하는 회사가 해당하는 분야에만 입찰이 가능하도록,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업무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추가로 회사에서 지정된 인원만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달청을 방문하여 ‘지문’도 등록해야 합니다.
사업유형별로 등록 시 준비해야 하는 서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신규이용자 등록’을 진행하면서 아보겠습니다.
나라장터 메인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신규이용자 등록’을 클릭한 다음, ‘조달업체 이용자’를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사업자등록번호 등 회사의 기본사항과, 대표자 정보를 입력하고,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입찰하고자 하는 업무 구분에 따라, 선택.입력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공급, 제조, 공사.용역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공급업체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대표물품만 설정해 주면 됩니다. 취급할 수 있는 물품의 범위는 사업자등록증에 기입된 업태의 산업분류코드 내에서 가능합니다.
제조의 경우 핵심은, 제조업체가 제조하는 물품에 맞게 공장을 등록하고, SMPP를 통해 해당 제품을 직접생산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받은 후 그 입증서류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건설, 통신, 전기 등 특정 분야의 일을 완성하는 공사.용역 업종은 그 분야의 기술을 가진 인력이나 설비, 규모 등을 갖춰서 면허를 취득하거나, 등록을 해야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업종코드와 등록번호를 제출하여 입찰참가자격을 등록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공급이나 제조, 공사.용역 모두 사업 형태에 따라 입력한 범위 내에서만 해당하는 입찰에 참여할 수있습니다. 수요기관은 이러한 검증을 통해 자격 없는 입찰자의 입찰을 사전에 차단 함으로써 불필요한 업무소요를 줄이고 있습니다.
낙찰자는 어떻게 결정될까?::낙찰 프로세스와 입찰가격을 정하는 방법
전자조달은 공공기관이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거나, 사업을 하는데 나랏돈을 투명하게 쓰기 위해서 이용되는 체계이기 때문에 100% 낙찰되는 방법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또 그렇게 되지 못하도록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기도 합니다.
낙찰자가 결정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위 내용은 합천군 올린 ‘노후관로 교체공사 폐기물 처리용역’ 공고 내용입니다. 첨부된 ‘공고서’를 보고 낙찰자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해 보겠습니다.
본 사업의 ‘사업금액’은 2천6백6만원입니다. 먼저 이 금액을 기준으로 ±3% 범위 내에서 열 다섯개의 금액을 랜덤으로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금액은 입찰자에게는 가격을 보여주지 않고 추첨번호라고 하여, 입찰 시 화면과 같이 2개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각 추첨번호에는 랜덤으로 생성된 가격이 무작위로 들어가 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입찰에 참여하는 모든 입찰자들에게 2개의 추첨번호를 선택하도록 하고, 입찰이 종료되면, 모든 입찰자들이 선택한 추첨번호 중 가장 많이 선택한 4개의 금액의 평균을 계산해서 ‘예비가격’을 결정합니다.
이와 같이 ‘예비가격’은 해당 공고에 입찰한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합니다. 이 ‘예비가격’을 기준으로 ‘공고서’에 나와있는 ‘낙찰하한률’인 88%의 금액에 가장 가까운 입찰자를 낙찰하는 방식입니다.
공고에 참여하는 입찰자들이 선택하는 추첨번호에 따라 예비가격이 변동되기 때문에 금액을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사업금액’ 2천6백6만원의 ‘낙찰하한률’ 88% 가격인 2천2백9십3만2천8백원을 기준으로, ±3% 범위 내에서 낙찰가가 결정되므로, 이 금액을 기준으로 전략을 짜서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예비가격’ 100%에서 88% 사이에 입찰가격을 넣은 입찰자를 대상으로 88%에 가까운 입찰자부터 순위를 매기게 되는데, 입찰결과를 살펴보면 0.001% 차이로 낙찰자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입찰가격 이외에 ‘물품’의 경우, 경영상태, 납품실적 등을 환산점수로 합산하고, ‘공사’의 경우에는 수행능력평가 등을, 환산된 입찰가격 점수와 합산하기 때문에 입찰가로 정해진 순위가 바뀔 수도 있지만, 입찰가격의 비중이 가장 큽니다.
현재 기재부 ‘고시금액’ 기준으로 ‘물품’과 ‘용역’은 6.7억 미만의 사업에 입찰가격 비중을 각각 70점, 90점 3억 미만의 공사에는 입찰가격 비중을 90점 (사업금액이 커질수록 입찰가격 비중은 줄어듦)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라장터에 올라온 공고들이 사업 유형별로 어떻게 구분는지 살펴본 다음, 각각 입찰 참가자격을 등록 할 때 요구되는 서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입찰 참가자격을 얻었다면, 해당하는 공고에 입찰을 넣어봐야 합니다. 입찰을 할 때 가장 고민되는 것은 “입찰가격”을 결정하는 일 일텐데요. 입찰가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낙찰자가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먼저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제 공고를 보고 낙찰자가 결정되는 프로세스를 이해한 다음, 입찰 가격을 결정하는 요령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사업유형별 나라장터 활용법::입찰공고 조회방법
사업유형에 따라 입찰참가자격을 등록 할 때 준비해야 할 서류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전에 나라장터 사이트에 접속해서 공고들 살펴보겠습니다.
나라장터 사이트에 접속해 보면, 첫 페이지에 입찰공고를 검색할 수 있는 창이 보입니다. 공고명을 입력하는 창 앞에 ‘업무구분’ 메뉴를 열어보면, 여러가지 항목을 볼 수 있는데요. 각 항목들이 사업유형과 관련이 있습니다.
첫번째, ‘물품’ 카테고리에는 공장을 가지고 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제조업체와, 유통을 하는 공급업체에 해당하는 입찰공고문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학교 교복이나 학교 과학실용 가구를 제작하여 구입과 같은 공고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공사’와 ‘용역’ 입니다. ‘물품’업무가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구매하는 것이라면, ‘공사’와 ‘용역’ 업무는 어떤 일을 완성하고 대가를 받는 도급 업무로서, 하나로 묶어서 볼 수 있습니다.
공사업무에서는 바닥.외벽 공사 그리고 난방을 위한 전기 공사, 급식실 공사 등의 공고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용역업무에는 페스티벌 기획, 마을축제 개최, 컨설팅 공고와 같은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나라장터에 올라온 공고를 살펴보면 의외로 다양한 기관과 수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렇게 조회를 통해 사업에 필요성을 미리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전자입찰은 나라장터 뿐만아니라 수요기관인 공공기관에서 체계를 따로 운영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전자입찰 체계가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 링크 입니다.
조달청(국가종합전자조달) 나라장터
국방부 국방전자조달시스템
한전 한국전력 전자조달시스템
한국도로공사 전자조달시스템
인천국제공항 전자입찰
수자원공사 K-water 전자조달시스템
국가철도공단 KR전자조달
SR 전자조달시스템
한국토지주택공사(LH) e-Bid전자조달
KBS 전자조달
한국석유공사 전자조달시스템
공공급식 NeaT전자조달시스템
이 외에도 더 많음
입찰에 참여하기::입찰참가자격 등록하기
‘입찰참가자격 등록’은 나라장터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는 것입니다.
일반 사이트 회원가입과 다른 것은, 가입하는 회사가 해당하는 분야에만 입찰이 가능하도록,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업무 범위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추가로 회사에서 지정된 인원만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조달청을 방문하여 ‘지문’도 등록해야 합니다.
사업유형별로 등록 시 준비해야 하는 서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신규이용자 등록’을 진행하면서 아보겠습니다.
나라장터 메인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신규이용자 등록’을 클릭한 다음, ‘조달업체 이용자’를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사업자등록번호 등 회사의 기본사항과, 대표자 정보를 입력하고,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입찰하고자 하는 업무 구분에 따라, 선택.입력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공급, 제조, 공사.용역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공급업체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대표물품만 설정해 주면 됩니다. 취급할 수 있는 물품의 범위는 사업자등록증에 기입된 업태의 산업분류코드 내에서 가능합니다.
제조의 경우 핵심은, 제조업체가 제조하는 물품에 맞게 공장을 등록하고, SMPP를 통해 해당 제품을 직접생산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받은 후 그 입증서류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건설, 통신, 전기 등 특정 분야의 일을 완성하는 공사.용역 업종은 그 분야의 기술을 가진 인력이나 설비, 규모 등을 갖춰서 면허를 취득하거나, 등록을 해야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업종코드와 등록번호를 제출하여 입찰참가자격을 등록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공급이나 제조, 공사.용역 모두 사업 형태에 따라 입력한 범위 내에서만 해당하는 입찰에 참여할 수있습니다. 수요기관은 이러한 검증을 통해 자격 없는 입찰자의 입찰을 사전에 차단 함으로써 불필요한 업무소요를 줄이고 있습니다.
낙찰자는 어떻게 결정될까?::낙찰 프로세스와 입찰가격을 정하는 방법
전자조달은 공공기관이 필요한 물품을 구매하거나, 사업을 하는데 나랏돈을 투명하게 쓰기 위해서 이용되는 체계이기 때문에 100% 낙찰되는 방법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또 그렇게 되지 못하도록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기도 합니다.
낙찰자가 결정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위 내용은 합천군 올린 ‘노후관로 교체공사 폐기물 처리용역’ 공고 내용입니다. 첨부된 ‘공고서’를 보고 낙찰자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해해 보겠습니다.
본 사업의 ‘사업금액’은 2천6백6만원입니다. 먼저 이 금액을 기준으로 ±3% 범위 내에서 열 다섯개의 금액을 랜덤으로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금액은 입찰자에게는 가격을 보여주지 않고 추첨번호라고 하여, 입찰 시 화면과 같이 2개를 선택하도록 합니다. 각 추첨번호에는 랜덤으로 생성된 가격이 무작위로 들어가 있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입찰에 참여하는 모든 입찰자들에게 2개의 추첨번호를 선택하도록 하고, 입찰이 종료되면, 모든 입찰자들이 선택한 추첨번호 중 가장 많이 선택한 4개의 금액의 평균을 계산해서 ‘예비가격’을 결정합니다.
이와 같이 ‘예비가격’은 해당 공고에 입찰한 사람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합니다. 이 ‘예비가격’을 기준으로 ‘공고서’에 나와있는 ‘낙찰하한률’인 88%의 금액에 가장 가까운 입찰자를 낙찰하는 방식입니다.
공고에 참여하는 입찰자들이 선택하는 추첨번호에 따라 예비가격이 변동되기 때문에 금액을 특정하기는 어렵지만, ‘사업금액’ 2천6백6만원의 ‘낙찰하한률’ 88% 가격인 2천2백9십3만2천8백원을 기준으로, ±3% 범위 내에서 낙찰가가 결정되므로, 이 금액을 기준으로 전략을 짜서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예비가격’ 100%에서 88% 사이에 입찰가격을 넣은 입찰자를 대상으로 88%에 가까운 입찰자부터 순위를 매기게 되는데, 입찰결과를 살펴보면 0.001% 차이로 낙찰자가 결정되기도 합니다.
입찰가격 이외에 ‘물품’의 경우, 경영상태, 납품실적 등을 환산점수로 합산하고, ‘공사’의 경우에는 수행능력평가 등을, 환산된 입찰가격 점수와 합산하기 때문에 입찰가로 정해진 순위가 바뀔 수도 있지만, 입찰가격의 비중이 가장 큽니다.